국민은행 새희망홀씨 꼼꼼정리✔
2016. 5. 19. 13:00안녕하세요? 요즘 5월 날씨 답지 않게 낮에 너무 더워서 반팔을 입어야 할 정도네요. 올 여름은 얼마나 더울지 걱정이네요...ㅠㅠ 오늘은 국민은행 새희망홀씨 정보를 자세하게 정리해볼까 해요.
IMF 이후로 소득 양극화가 심해지면서 요즘 생활자금조차 부족해서 어려움을 겪는 분들이 많죠. 제 친척 중에도 돈을 못 갚아서 개인파산으로 고생을 하는 분들을 보니 많이 안타깝더라구요.
하지만 이런 분들은 소득이 적거나 신용이 낮은 탓에 시중 은행에서 생활 자금조차 빌리기 상당히 어려웠던 것이 현실이죠. 그래서 정부 주도로 저신용, 저소득자들을 대상으로 별도의 심사기준을 마련하여 서민들에게 대출해 주는 서민 맞춤형 상품을 내놓았는데요. 그 중에 하나가 오늘 설명 드릴 새희망홀씨죠.
이 상품은 햇살론과 달리 저축은행이 아닌 시중은행(제1금융권)에서 취급하기때문에 신용등급 하락폭도 적다는 장점이 있다고 하니 심사요건을 만족하시는 분들은 적극 이용하시면 좋을 듯해요. 오늘은 그 중에서 국민은행 새희망홀씨 상품에 대해서 자세히 알아보죠.(은행마다 금리 차이 있음)
이 상품은 원래 2010년에 출시해서 2015년까지 한시적으로 운영키로 했으나, 사회 취약 계층이 증가함에 따라 2020년까지 5년간 연장 시행한다고 하네요.
그리고 제도권 금융소외계층인 저소득근로자 뿐만 아니라 영세사업자에게도 긴급자금 수혈이 가능하다고 합니다.
신청 자격을 살펴보면, 개인신용평가시스템(CSS)에 의해 적격 판정된 국내거주 국민으로서 연소득 3천만 원 이하(NICE 또는 KCB 신용등급이 6~10등급이면 연소득 4천만 원 이하)이며, 직업 및 소득 확인서류를 제출하였거나 국민연금 또는 지역건강보험료(세대주) 3개월 이상 납부액 기준으로 소득금액이 산출 가능한 분들이어야 해요.
한도는 무보증 방식으로 최대 2500만 원까지 가능하지만 개인 소득이나 환산인정소득에 따라 더 적어질 수도 있다는 점 유의하시구요.
최저 1년 이상 최장 7년까지 이용 가능하며, 원금균등 또는 원리금균등 분할상환을 하셔야 해요.거치기간 설정은 불가하구요.
가장 중요한 이율을 살펴볼까요?
5년 이상 이용 기준으로 금리는 최소 연 5.55% ~ 최대 연 10.50%로 적용되는데요. 시기에 따라 변동이 가능하므로 이용 전에 반드시 문의해보셔야 하구요.
그리고 기초생활수급자, 한부모가정, 다문화가정 등 취약계층에게는 항목당 0.5%p씩 우대금리가 적용되며, 성실하게 상환한 분들에게는 연 0.3%씩 인하해준다고 하니 더 저렴하게 이용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죠?
그 외에 중도에 돈을 갚더라도 별도의 수수료는 없으며, 신청 시 필요 서류는 아래와 같습니다.
- 본인 신분증(주민등록증, 운전면허증, 여권 등_
- 주민등록등본
- 근로소득자: 재직증명서/건강보험증 중 택1, 소득금액증명원/근로소득원천징수영수증 중 택1
- 자영업자: 사업자등록증명원, 소득금액증명원 등
지금까지 국민은행 새희망홀씨 상품에 대해서 비교적 자세하게 알아봤습니다. 시중은행에 따라 금리에 약간의 차이가 있는 만큼 꼼꼼히 비교해보시고 신청하시기 바랍니다.